 
 


| 진로 분야 | 취업 분야 | 목표 직종 | 설정 근거 | 비 고 | 
|---|---|---|---|---|
| ⑴건강운동관리사 | ① 임상운동사 | 운동재활전문병원 재활전문센터 |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(통계청, 2016). | |
| ② 운동처방사 | 보건소, 공무원 및 의료기관 | |||
| ③ 연구원 | 스포츠재활 관련 연구소 | |||
| ⑵선수트레이너 | ① 팀 트레이너 | 스포츠 팀 전문 선수트레이너 | ||
| ⑶헬스트레이너 | ① 개인 트레이너 | 피트니스  센터 스포츠 센터 창업 | ||
| ② 공인체력관리사 | 공공기관/재활센 터 | 
▪ 건강  및  체력단련에 대한  관심이   최근에   고조되면서 일상에서 체력  단련장,  스포츠의학 센 터,  스포츠(비만) 클리닉,  헬스클럽 등의  창업이   증가되고 있는  추세이다.  본  학과는   전문자 격증  취득을   통해  임상운동사나 운동처방사로 나아갈   수  있는  방향을   설정해주며, 임상운동 사의   경우   의사들과  협력하여  의료진의  한  사람으로서  환자들의  치료   및  건강유지를  위한 역할을   수행할   수  있도록   한다. 또한  운동처방사는 보건소,  전문재활센터 등에서   건강과   운 동을  위한  피교육자들에게 운동을   서비스하는 역할을   하게  된다.
▪ 스포츠가 전문화되고 발전됨에 따라  선수들의 체력관리와 컨디션   조절,  운동  상해의   예방 과  상해를   입었을   때  빠른   회복은   선수들의  경기력   유지에   중요한   사항으로서  선수트레이 너의  역할이   점차  중요해   지고  있다.
▪ 일반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 전문적인 피트니스 센터나   병원의   건강검진센터 또는  스포츠재 활센터   등의   의료기관과  노인복지시설  및  장애인   재활시설  등의   사회복지시설에서  운동검 사  및  운동처방 업무를   수행할   수  있으며,  보건소의 경우  주민체력관리 부서가   설치됨에 따 라  앞으로   많은  수요가   예상되고 있다.
▪ 졸업  후  진로
스포츠건강센터나 보건소에서 근무하게 되는  운동처방사와 보건교육사의 길로  진출할   수  있다. 또한,  프로구단에서  운동선수의  재활과   경기력향상을  담당하는  전문가인  선수트레이너(AT) 로  진출이   가능하며,  노인사회복지관,  노인전문요양병원에서  노인들의  건강을   담당하는  노 인운동   지도사로도 진출이   가능하다. 그  외  일반  헬스클럽의 퍼스널트레이너,  산업안전전문
운동사   등  다양한   분야로의 진출이   가능하다.
